반응형
메모리
RAM ; Random Access Memory ; 일반적으로 메모리라고 불림, 휘발성
- 보조기억장치는 비휘발성
- ex) HDD, SSD, CD, USB메모리
종류
- DRAM
- Dynamic RAM ; 동적 램 ; 재충전 필요
- 느림
- 주기억장치에 주로 쓰임
- Dynamic RAM ; 동적 램 ; 재충전 필요
- SRAM
- Static RAM ; 정적 램 ; 재충전 불필요
- 빠름
- 캐시 메모리에 주로 쓰임
- Static RAM ; 정적 램 ; 재충전 불필요
- SDRAM
- Synchronous DRAM ; 클럭과 동기화 된 DRAM ; 발전된 DRAM
- DDR SDRAM
- Double Data Rate SDRAM ; 대역폭이 두 배인 SDRAM ; 전송 속도가 두 배인 SDRAM
주소
- 물리 주소
- 메모리 내의 물리적인 주소
- 논리 주소
- CPU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갖는 논리적인 주소
- MMU(Memory Management Unit) ; 메모리 관리 장치
- CPU와 주소 버스 사이에 위치
- 논리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장치
- 베이스 레지스터(프로그램의 첫 물리 주소) + 논리 주소(변위) = 접근할 물리주소
- 한계 레지스터(논리 주소의 최대값) 사용
- 메모리 상의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 제한
- 한계 레지스터(논리 주소의 최대값) 사용
캐시 메모리
CPU의 연산 속도와 메모리 접근 속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저장 장치
저장 장치 계층 구조
- CPU와 가까운 저장 장치일수록 빠르다
- 빠른 저장 장치일수록 용량이 작고 비싸다
참조 지역성 원리(locality of reference)
CPU가 메모리에 접근할 때의 경향
- 시간 지역성 ; temporal locality
- 최근에 접근했던 메모리 공간에 다시 접근하려는 경향
- 공간 지역성 ; spatial locality
- 접근했던 메모리 공간 근처에 접근하려는 경향
캐시 적중율
캐시 히트 횟수 / (캐시 히트 횟수 + 캐시 미스 횟수)
- 캐시 히트 ; 캐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CPU가 활용하는 경우
- 캐시 미스 ; 캐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CPU에게 필요치 않아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가져오는 경우
- 캐시 적중율이 높을수록 메모리에 직접 접근할 필요가 적어진다
- -> 참조 지역성 원리를 활용하여 메모리 접근을 낮춘다
반응형
'Computer Science > Operating Syste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혼자 공부하는 운영체제 - 8. 입출력장치 (0) | 2024.07.31 |
---|---|
혼자 공부하는 운영체제 - 7. 보조기억장치 (0) | 2024.07.30 |
혼자 공부하는 운영체제 - 5. CPU 성능 향상 기법 (0) | 2024.07.28 |
혼자 공부하는 운영체제 - 4. CPU (1) | 2024.07.27 |
혼자 공부하는 운영체제 - 3. 명령어 (0) | 2024.07.26 |